100 Continue이 임시적인 응답은 지금까지의 상태가 괜찮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요청을 하거나 이미 요청을 완료한 경우에는 무시해도 되는 것을 알려줍니다. 100 Continue - HTTP | MDN 100 Continue HTTP 100 Continue 정보 상태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낸 요청에 문제가 없으니 다음 요청을 이어서 보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클라이언트의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developer.mozilla.org 101 Switching Protocol이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Upgrade 요청 헤더에 대한 응답에 들어가며 서버에서 프로토콜을 변경할 것임을 알려줍니다. 101 Switching Protocols - HTTP | MDN 101 Switch..
API란 간단하게 이해하면 “내가 만든 프로그램이 개인 개발자, 기업, 기관이 제공하는 기능, 프로그램 등을 활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중간 매개체” 즉 우리가 코딩할때 이미 있는 기능을 ex)int class 의 개념들 등등 사용하는 것처럼 특정한 곳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내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 이라고 이해하면 될것같다. API는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무료로 이용한 가능한 API도 있고, 아니면 일정 페이를 지불해야 사용 할 수 있는 API도 있다. API사용법 같은 경우는 내가 사용하고 싶은 API가 있는 곳을 살펴보면, 잘 나와있다. API마다 사용법과 전용 메소드들이 다를 수 있으니 여기서 간단하게 마치겠다.
핵심 내용 stack과 heap개념을 확실하게 알았고 어떤식으로 동작하고 이 개념을 알아야 하는 이유도 알았다. 6)배열의 길이 구하기 array.length의 값과 array[2].length의 값을 구하기. int[][] array = { {95, 86}, {83, 92, 96}, {78, 83, 93, 87, 88} }; 여기서 [ ]의 값은 임의로 지정할수있고, 지정하지 않은경우 배열의안의 값을 직접 지정해서 넣어줘야 함 [ ]를 두번 사용하면 2차원 구조로 배열이 생성된다. 아래는 이 코드의 구조이다 보면서 생각하면 조금 더 이해가 잘된다. array라는 int타입 변수가 생성되었고, 그 와 동시에 배열을 만들었는데 이 값들은 heap안으로 가게된다. heap안의 구조를 살펴보면 가장 처음으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consumer
- producer
- elasticSearch
- MSA
- kafka
- 루틴기록
- config
- git
- github
- Spring + ELK
- LoadBalancer
- zipkin
- docker
- 운동일기
- JWT
- springcloud
- 오늘저녁 삼겹살
- rabbitmq
- UserService
- Feign
- Logstash to ElasticSearch
- ACTUATOR
- MariaDB
- 미래의나에게동기부여
- prometheus
- Gateway
- 빅-오
- 운동
- Kafka Connect
- Logstash 활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