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이 가지고 있는 api의 종류 및 기능을 정리해뒀습니다. 필요한 기능이 있는지 찾아보고 실제로 적용시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출저:dreamform.egloos.com/v/2804746 ervletContext 객체를 얻습니다. String getServletInfo(): 서블릿의 작성자(author), 버전(version), 저작권(copyright) 등과 같은 서블릿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기 위해 재정의해 주어야 합니다. void log(String msg): 서블릿의 클래스 이름과 서블릿 예외 메시지를 서블릿의 로그 파일에 기록합니다. void log(String message, Throwable t): 시스템 예외 메시지를 서블릿 로그 파일에 기록합니다. javax.servlet.http ..
에러페이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생보다 간단하다. 일단 xml파일로 가서 404 /404error.jsp 와 같은 문구를 추가해준다. 그러면 404가 에러가 떴을때 404error.jsp파일을 불러와 에러화면 대신 출력해준다. jsp파일을 추가했다면 다음과 같이 란 코드를 에러출력페이지에 추가해주면 된다. 코드의 의미는 이 페이지를 에러페이지로 인식한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web project setting값을 / 로 해주고 없는 주소를 입력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성공적으로 에러코드가 적용된걸 볼 수 있다. 다른 에러들도 마찬가지로 전부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다.
Java beans를 깊숙하게 이해하기전에 왜 와이 java beans를 사용하는지부터 이해 할 필요가 있다. "Java Bean은 Builder Tool에서 시각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입니다. 서로 다른 Builder에서 편리하게 Java Class를 쓸 수 있도록 합니다. 즉, 어디서나 공통의 Convention을 지키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별도의 문서 없이 쉽고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java bean같은 경우 한줄로 말하면 쉽고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한다. 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자바빈즈의 관례 클래스는 직렬화 되어야 한다. (클래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저장 혹은 복원시키기 위해) implements ..
100 Continue이 임시적인 응답은 지금까지의 상태가 괜찮으며 클라이언트가 계속해서 요청을 하거나 이미 요청을 완료한 경우에는 무시해도 되는 것을 알려줍니다. 100 Continue - HTTP | MDN 100 Continue HTTP 100 Continue 정보 상태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낸 요청에 문제가 없으니 다음 요청을 이어서 보내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클라이언트의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developer.mozilla.org 101 Switching Protocol이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Upgrade 요청 헤더에 대한 응답에 들어가며 서버에서 프로토콜을 변경할 것임을 알려줍니다. 101 Switching Protocols - HTTP | MDN 101 Switch..
Servlet 을 사용하다보면 name값을 이용해서 여러값을 받는 경우가 있다. x: y: 이렇게 두개의 값을 연산하는 html코드가 있다고 하자, 그럴경우 연산을 위해 Servlet에도 두개의 request값을 받는 코드를 지정해야한다. 이렇게 적은 갯수의 입력공간이 있을경우는 상관이 없지만, 열개 스무개의 입력공간을 만들게 된다면 Servlet측에서 연산하는데 굉장히 힘들어할것이다. 그럴경우 사용하는것이 name의 배열 특성을 사용한 배열이다. 아래와 같이 4개의 입력공간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럴경우에는 Servlet에서도 마찬가지로 4개의 name값을 가진 변수를 선언하고 등등 여러작업을 해야해서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나, 효율성 측면에서도 굉장히 비효율적으로 코딩을 해야한다 밑과 같이... Stri..
Cookie는 우리에게 굉장히 친숙한 단어이다. Servlet에서의 쿠키와 세션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개념을 비교하며 장단점을 살펴보고 장단점을 정리해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게 될지만 이해하는것이 오늘의 목표이다. Application (클라이언트 -> 서버로 전송할때) 사용범위: 전역범위에서 사용하는 저장공간 생명주기:WAS가 시작해서 종료할 때 까지 저장위치:WAS 서버의 메모리 여기서 was란 (Wep Application Server)의 줄임말이다 was란 곳에 application이 존재하고 전역으로 사용가능한 저장공간이며 생명주기는 was가 시작하는 순간부터 종료할때까지 저장위치는 was서버의 메모리안이라고만 이해해두자 Session 사용범위: 세션 범위에서 사용 생명주기: 세션이 시작해서 종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의 html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x: y: 여기서 봐야할 부분은 action 부분과 "x" "y"가 name으로 지정 됐다는 점인데. Servlet 클래스를 활용해서 request(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내용)은 name으로만 전송받는다 즉 *html로부터 Servlet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id가 아닌 name으로 지정해야 된다는것을 기억하자 기본 뼈대같은 경우에는 두개의 데이터를 전송시키기 위한 입력칸을 두개 만들고 덧셈버튼을 누르면 연산 결과로 이어지게 만든 틀이라고 보면 될것같다.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
Servlet은 줄임말이고 정확한 네이밍은 Server application let이다 즉 서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같다. 간단히 설명하면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가 사용하는 html or 기타등등 의 화면의 출력기능이 있을텐데 이곳에서 서버를 호출해서 특정기능을 수행하고 싶을때 servlet을 사용하게 된다. 즉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클라이언트) -> (서버에 데이터 전송)->(서버에서 데이터를 연산* 이 부분이 servlet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연산한 부분을 사용자에게 전송 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간단히 이론적으로만 알아두고 나중에 천천히 직접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이해하면 조금 더 이해가 빠를 것 같다. Servlet을 활용한 계산기를 곧 올리겠습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LoadBalancer
- 루틴기록
- rabbitmq
- Logstash to ElasticSearch
- Kafka Connect
- Gateway
- git
- 오늘저녁 삼겹살
- JWT
- consumer
- ACTUATOR
- springcloud
- producer
- kafka
- config
- github
- MariaDB
- Logstash 활용
- 운동
- elasticSearch
- zipkin
- UserService
- 운동일기
- 빅-오
- docker
- prometheus
- Feign
- 미래의나에게동기부여
- MSA
- Spring + EL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