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웹 프로그래밍/JAVA

논리 연산자(JAVA)

박강균 IT 2021. 1. 29. 01:29

 논리 연산자는 참인지 거짓인지 확인하는 연산자로 그 종류는

 

&&(and), ||(or), ^(Xor),!(Not) 있다

 

&&(and) :둘 다 참일 경우 참인 논리 연산자

 

||(or):둘 중 하나라도 참일 경우 참인 논리 연산자

 

^(Xor):둘 중 하나가 참일 경우 참이고, 둘 다 참이거나 거짓일 경우 거짓인 논리 연산자

 

!(Not):값이 참일 경우 거짓으로 바꾸고, 거짓일 경우 참으로 바꾸는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의 값을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프로그램을 짜보았다.

 

public class Logic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b1 = true;
	    boolean b2 = false;
	    boolean b3 = true;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b1 ^ b3);
	    System.out.println(!b1);
	    System.out.println(!b2);

	}

}

boolean 함수는 참과 거짓을 구분할때 주로 사용하는 함수이다.

 boolean b1=의 값을 'true'

 boolean b2=의 값을 'false'

 boolean b3=의 값을 'true'

 

(b1 && b2) 'true' 값과 'false' 값을 가지고 and연산을 했다.

하나는 'false'이기 때문에 'flase'값이 나와야한다.

 

(b1  ||   b2)'true' 값과 'false' 값을 가지고 or 연산을 했다.

둘 중 하나가 'true' 값을 가지고 있어서 'true'가 나온다.

 

(b1 ^ b2) 'true'값과 'false' 값을 가지고 xor 연산을 했다.

둘 중 하나가 'true'값을 가지고 있어서 'true'가 나온다.

 

(b1 ^ b3) 'true'값과 'false' 값을 가지고 xor 연산을 했다. 

둘 다 'true'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alse'가 나온다.

 

(!b1) !연산은 값을 반대로 바꾼다. 'true' 값이기 때문에  'false'가 나온다.

 

(!b2) 마찬가지로 'false' 값이기 때문에  'true'가 나온다.

 

 실제로 실행한 모습이다. 모든 값이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웹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감 연산자  (0) 2021.01.29
비트 연산자와 비트이동 연산자 (JAVA)  (0) 2021.01.29
산술 연산자 (JAVA)  (0) 2021.01.29
이클립스 JAVA 프로젝트 생성  (0) 2021.01.29
JAVA 개발환경 갖추기 2  (0) 2021.01.2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