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참조: https://hello-bryan.tistory.com/
REST api 를 사용할때 주로 리턴받는 값은 JSON입니다.
Json은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할때 주로 사용되고,
리턴받은 값을 바탕으로 파싱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식입니다.
1. Jackson
annotation을 사용하면 Class안에 있는 값들을 자동으로 Json형태로 리턴 해줍니다. 아래의 과정은 이해하기 보단
이렇게 하면 Json형태로 Return 이 되는구나!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Class 내부에 @RestController 가 필수적으로 존재
- Class 에 @Controller 가 붙어있다면 Function 에 @ResponseBody 가 있어야함
- model이라는 Package 생성후 Project라는 이름의 Class 생성
-
package com.rest.test.info.model; import java.util.Dat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Getter @Setter public class Project { public String projectName; public String author; public Date createdDate; }
- 여기서 lombok 디펜던시에 Getter와 Setter를 필수적으로 어노테이션 시켜줍니다.
- 위의 과정을 진행한 후 기존에 만들어 둔 InfoController.java 코드를 수정해줍니다.
package com.rest.test.info; import java.util.Dat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com.rest.test.info.model.Projec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InfoController { @GetMapping("/info") public Object projectInfo() { Project project = new Project(); project.projectName = "preword"; project.author = "hello-bryan"; project.createdDate = new Date(); return project; } }
반드시 Return값을 기존의 String 값이 아닌 Object 혹은 Project로 수정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기존의 주소에 접속해 리턴값이 제대로 내가 원했던 결과와 맞는지 확인하면 성공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onfig
- Logstash 활용
- Kafka Connect
- git
- LoadBalancer
- 빅-오
- producer
- rabbitmq
- consumer
- docker
- prometheus
- kafka
- Spring + ELK
- MariaDB
- Feign
- elasticSearch
- 운동일기
- springcloud
- Gateway
- JWT
- UserService
- 루틴기록
- Logstash to ElasticSearch
- github
- 미래의나에게동기부여
- ACTUATOR
- 오늘저녁 삼겹살
- zipkin
- 운동
- MS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